eslint는 npm이 있어야 설치가 가능하다.
package.json에 lint 명령어를 추가하여 실행 시킬 수 있다. 예시에서는 src 디렉토리 하위의 파일들을 eslint로 돌리는 것이다.
// package.json
"scripts" : {
// src 폴더 하위를 eslint로 검사한다.
"lint" : "eslint src"
}
npm run lint
Eslint는 규칙(Rules)이 있어야 이걸 보고 코드를 검사한다. (위에 처럼 그냥 돌리면, 아무것도 검사하지 않음)
.eslintrc.js 라는 파일을 만들고, 해당 파일에 rules라는 프로퍼티에 위의 공식문서에 나온 rules들을 추가해 주면 된다. 이렇게 추가한 다음, npm run lint를 돌리면 해당 rules을 가지고 eslint가 검사를 시작한다. (아무런 메시지가 없다면 **“성공”**한 것임.)
// .eslintrc.js
module.exports = {
rules : {
"no-unexpected-multiline" : "error"
}
}
세미콜론을 여러개 붙이면, 에러로 인식하도록 해당 rules를 추가해보자.
// .eslintrc.js
module.exports = {
rules : {
"no-unexpected-multiline" : "error",
"no-extra-semi" : "error"
}
}
—fix 옵션을 추가하면 자동으로 eslint가 해당 파일을 자동으로 수정 해 준다.// package.json
"scripts" : {
// src 폴더 하위를 eslint로 검사한다. + 수정할 수 있는것은 수정하자!
"lint" : "eslint src --fix"
}
<aside> 💡 Eslint 규칙에는 자동으로 수정가능한 것과 수정할 수 없는 것으로 나뉜다.
</aside>

초록색 체크 무늬 표시가 된것들은 eslint : recommended 속성에 들어가있는 rules 들이다.

extends 배열에 넣으면, 체크 무늬로 표시된 rules들을 모두다 사용할 수 있게 된다. rules 속성에 계속해서 추가해 줄 수 있다.
// .eslintrc.js
module.exports = {
extends : [
"eslint:recommended"
]
}
eslint-config-prettier : 둘다 설치 해야함eslint-plugin-prettier : 둘다 설치 해야함npm install eslint-config-prettier eslint-plugin-prettier
.eslintrc.js에 extends 배열에 추가를 해야한다.
// .eslintrc.js
module.exports = {
extends : [
"eslint:recommended",
"plugin:prettier/recommended"
]
}
다음과 같은 코드를 검사한다고 할때
// 코드 품질 검사는 ESlint가 진행한다.
const foo = "사용하지 않는 변수"
// 중복 세미콜론 처럼 포메팅을 검사하는 것은 프리티어가 한다.
console.log();;;;;;;
<aside> 💡 프리티어를 eslint로 합쳤기 때문에, eslint만 실행하더라도, 둘 다 실행한 효과가 나타날 것이다.
</aside>
npm run lint로 코드 검사를 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